자기계발347 메모의 중요성 최근들어 부쩍 기억력이 감퇴(?)하고 있음을 느끼고 있습니다. ㅠ.ㅠ 아직 나이도 젊은데 벌써부터 기억력이 감퇴되면 어쩌나 하는 노파심에 기억력 강화를 위해 무엇이라도 해야할것 같은 기분입니다. ㅎㅎ 여러분은 메모를 얼마나 자주하시는 편이신가요? 굳이 얼마나 자주라는 질문 보다도 직장인이든 일반인이든 내게 주어진 환경과 상황에서 의외로 메모를 하는 횟수들이 많음을 알수 있습니다. 직장에서 각종 회의와 관련된 주요 이슈나 현황들을 메모하거나 기록하죠. 일상생활에서도 펜만 있다면 어디에든 메모가 가능하죠. 옛날엔 통장에다가도 낙서(?)형태로 메모했던 기억도 나네요. 요즘이야 시대가 좋아져서 스마트폰이나 기본 핸드폰등을 활용해서 녹음을 한다던지, 혹은 간략하게 메모 형태로 메시지를 저장해둘수도 있죠. 언제 어.. 2010. 8. 18. 회의시간 줄이기 보통 직장인들의 경우, 각종 회의에 참석하는 시간들이 많을겁니다. 업무 관련된 각종 회의들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도 많을줄로 압니다. 오늘 타부서의 회의하는 모습들을 지켜보면서 회의시간 줄이기에 대한 노하우를 공유해보는것도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 되어지더군요. 왜 회의시간은 늘 길어질까? 이는 회의소집을 위해 주관하는 부서나 혹은 담당자가 회의와 관련된 이슈 또는 회의주제를 참여자들에게 미리 공지하는게 효율적이며, 참여자들 역시 내가 참여하는 회의에서의 안건이나 주제가 무엇인지 미리 파악한후, 가능하다면 주제에 대한 본인의 생각들, 혹은 방법들 등을 요약 준비하여 참여하는게 효율적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은 미리 회의 주제에 대한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미리 공유가 안되다 보니 준비 또한 제대.. 2010. 8. 16. 리더십이 필요해보이는 팀장 한 부서를 이끌어가고 있는 팀장에게 필요한 자질중에는 실무능력도 중요하고 팀원들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도 필요합니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리더십이 있지요. 오늘 이야기할 팀장의 역량중에 리더십과 관련해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리더십이라는게 팀장이 팀원들에게 무조건 나를 따르라 하고 외치는건 아닐겁니다. 팀원들이 팀장을 믿고 따르게 만들려면 최우선적으로 리더다운 모습을 보여야겠지요. 그 모습들이란, 업무의 목표와 방향을 수립하고 그 목표달성을 위한 세부 전략 전술등도 수립하고, 나아가 함께하는 팀원들에게 어느정도의 비전도 심어줄수 있어야 하겠지요. 회사의 큰 비전은 CEO가 구성원들에게 심어줄수 있다지만, 세부적인 사항들은 각 부서별 팀장등의 중간 관리자들의 역량에 따라 심어줄수도 있습니다. 팀장 스스.. 2010. 8. 14. 직장생활 - 효율적으로 일하기 직장생활에 있어 업무의 우선순위를 정하는것은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해야 할 많은 업무들중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업무 분류를 하고 선정한 후, 가장 빠른 해결을 위해 해야할 것들은 무엇인지, 협조를 받을 사내 인력은 어떻게 되는지등의 준비가 된후 일처리를 진행하면 시간도 단축될 뿐더러, 불필요한 시간낭비를 막을수 있습니다. 또한 함께 일하는 동료들에게도 유익한 일입니다. 하지만 종종 현실에선 이런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바로, 자기의 사고에 사로 잡혀 있어서 자신도 힘든지도 모르면서 남을 괴롭히고 있음을 알지 못하는 피곤한 직장동료 or 상사들 말이죠. 자기만의 생각과 고집을 굽히려 하지 않습니다. 합리적인 업무처리 방법이나 기타 노하우들을 알려주어도 선뜻 받아들이질 못하죠. 처음엔 이야기를 듣는.. 2010. 8. 9.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87 다음